티스토리 뷰

북한의 우라늄 공장에서 나온 방사성 폐기물이 서해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는 주장이 미국에서 나왔습니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최근 미국 북한 분석가인 제이콥 보글이 "인공위성 사진 분석 결과 북한 황해북도 평산 강변에서 나온 검은 물질은 우라늄 공장 폐기물"이라며 "방사능 오염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평산 우라늄 공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월 베트남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났을 때 언급했던 북한의 5대 주요 핵시설 중 하나다.  

 

보글은 방송에서 "예성강 지류 위쪽에는 우라늄 광산과 공장이, 아래쪽에는 폐수와 폐기물을 모아놓는 저수지가 있다" "공장에서 저수지까지는 폐기물을 운반하는 파이프가 있는데 그 파이프 양쪽이 새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파이프에서 흘러나온 폐기물이 저수지가 아닌 예성강 지류에 유입됐고 결국 서해를 오염시킨다는 주장입니다.  

 

이에 대해 원자력 전문가인 최한권 박사는 "평산 공장이 광석에서 우라늄을 뽑아내는 정련만 하는 곳이라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면서도 "하지만 농축분리 등의 과정에서 나온 폐기물이라면 환경 오염 문제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고 방송은 전했습니다.  


 

방송과 접촉한 평안남도 소식통은평안남도 순천시 동암리 야산에는 우라늄을 캐내는월비산광산이 자리 잡고 있는데, 이 지역에서는 해마다 각종 암이나 병명을 알 수 없는 불치병이 발생한다고 전했습니다.





 

이 소식통은월비산광산에는 젊은 제대군인 출신 광부들이 배치돼 우라늄을 캐고 있으며, 그 가족들이 광산 주변의단층마을에 모여 산다면서광부들은 아무런 보호장비 없이 우라늄을 채굴하며, 마을 주민들은 방사능에 오염된 음식과 물을 먹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 월비산광산 근로자 가운데 갑자기 원인을 알 수 없는 병을 얻은 뒤 몇 달 만에 사망하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고 전했습니다. 광산 주변 단층마을에서는 간암으로 사망하는 사람들이 특히 많다는 것입니다. 그는그러나 당국은 발병 원인도 조사하지 않고 사망자 유가족에게 특별공급을 해주는 것으로 사건을 마무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또 다른 심각한 문제는 광부들 가운데 성기능 마비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많고, 가끔 광부의 아내가 출산하면 기형아를 낳는 경우가 있습니다면서때문에 광부와 그 가족들은 방사능 오염 공포에 떨고 있습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광부들이 당 위원회를 찾아가 퇴직을 요구하면, 당 간부들이 그를 정신병자로 몰아 양덕정신병원에 격리해버립니다는 게 소식통의 이야기다.

 

소식통은단층마을 어린이들이 이유 없이 코피를 흘리는 등 건강이상 증세를 보여도 당국에서는 전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라며당국은 방사능 오염을 거론하거나 광산을 떠나려는 주민들을 정치범으로 몰아 잡아들이고 있습니다고 전했습니다.

 

이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월비산 우라늄광산에 배치한 광부들을 3년마다 한 번씩 제대 군인들로 교체합니다. 소식통은광부들이 방사능에 피폭돼 불치병 징후가 나타나는 기간이 3년 뒤부터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방송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올해 들어 월비산광산 광부들에게 가족배급까지 특별공급하면서 더 많은 우라늄을 캐라고 독려합니다. 이곳에서 캐낸 우라늄은 덮개로 가린 화물차에 실려 어디론가 운반된다고 합니다.


 

월비산광산이 있는 평안남도 순천시는 대동강 상류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곳에서 우라늄을 채굴한 뒤 나오는 오염물질은 대동강을 타고 평양과 남포를 지나 서해로 흘러듭니다. 방송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대동강 지역은커녕 광산 주변에 대한 방사능 오염 조사도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


 

 

 

출처

세종경제신문 http://www.sejongeconomy.kr/news/articleView.html?idxno20920

뉴데일리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19/08/20/2019082000160.html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55756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