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황철성 서울대 공과교수 일본 기업 파산론은 허구 하지만 한국사회 성장판 자극한 일본

 


 

서울대 황철성(55) 재료공학부 교수는 7일 본지 인터뷰에서 "일본이 수출 규제한 핵심 소재는 공급자 우위 시장이기 때문에 일본 기업은 얼마든지 미국·일본·대만의 반도체 회사에 제품을 판매할 수 있습니다" "이런 객관적인 상황을 외면해선 안 됩니다"고 말했습니다




황 교수는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를 거쳐 1998년부터 서울대 교수로 재직하며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장 등을 지낸 산업 현장을 잘 아는 학자입니다. 영국왕립학회 펠로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공학한림원 회원으로도 뽑힌 국내에서 손꼽히는 반도체 전문가입니다.


 

"반도체 핵심 소재를 곧 국산화할 수 있고, 오히려 일본 부품·소재 기업이 파산할 것이라는 건 어떤 근거인지 잘 이해하기 어렵다. 지나친 낙관론을 앞세워 대일(對日) 강경 대응을 부추기는 상황이 가장 우려스럽다." 고 말했습니다.

 

황 교수는 "일본 수출 규제로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시장점유율이 떨어지면 경쟁 기업이 치고 올라올 것"이라며 "일본 소재 기업은 시장점유율이 늘어나는 반도체 기업에 소재를 팔면 되기 때문에 큰 타격을 입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일본 이외 대체선 확보에 대해서도 "한계가 분명합니다"고 지적했습니다. 황 교수는 "일각에서 EUV(극자외선)용 포토레지스트 재고를 벨기에에서 확보할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오지만, 이것은 일본 JSR의 합작회사가 벨기에에 있기 때문"이라며 "일본의 소재를 단기간에 대체하는 게 쉬운 일이 아닙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일부에서 주장하는 '1년 이내 소재 국산화'에 대해서도 황 교수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시간"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초미세 공정에 필수적인 EUV 포토레지스트는 샘플 제작과 성능 실험 과정이 실패 없이 단 한 번에 성공합니다 해도 최소 16개월이 걸립니다" "더구나 인력과 축적된 기술이 없는 중소기업이 개발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과제"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EUV 포토레지스트의 국내 재고는 2~3개월치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황 교수는 "특히 EUV 포토레지스트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차세대 D램 반도체에 적용할 예정"이라며 "일본이 한국에 타격을 주기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는 방증"이라고 말했습니다


 

황철성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는 또 왜 일본이 이번 결정을 했는지 생각해보면 미국과 일본은 잃을 게 없어서 인 것 같다. 시장이 준다고 생각하면 마이크론으로 가면됩니다. 일본은 이곳에 팔면 됩니다. 전세계 시장을 미국의 마이크론이 지배할수도 있습니다. 일본이 치밀하게 준비했습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황 교수는 또 미국 CPU 제조사 인텔이 D램 없는 프로세서 개발에 힘쓰고 있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지금은 D램 탑재 제품이 훨씬 빠르지만 격차 극복은 시간문제일 수 있다는 우려다라며. 이번 수출 규제로 가치사슬이 잠시 흔들리겠지만 일본이 기초소재 공급을 미국 마이크론 등으로 돌리면 그만입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012345


0123456789



 

산적한 과제가 많지만 일본의 공격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소재 국산화 성공과 대기업-중소기업 상생이라는 업적을 남길 기회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댓글